로그인

여까 게시판
아이콘샵 추가됨 다들 구매 ㄱㄱ
잡담
식물잡설) 옥수수가 지력을 많이 소비한다?

가끔 커뮤니티나 이곳저곳에

 

'옥수수가 지력을 많이 소비하기 때문에 북한의 재배 능력이 많이 줄었다'가은 내용들이 보이는데

이는 어느정도만 맞는 이야기 입니다.

 

 지력이라고 히는 것은 

KakaoTalk_20250413_184543597.jpg

 요런 느낌이 아니라

 

 

 

KakaoTalk_20250413_184543597_01.jpg

토양 내 여러 영양분이 있고 그 중 재배하는 식물마다 소비하는 영양분의 종류와 그 양이 다른 것입니다.

 

옥수수가 지력을 많이 소비한다는 것은 질소와 인산쪽 소비가 많은 편이고 이 경우 재배 후에 콩이나 보리같은 작물로 로테이션 해주면서 유기질 비료와 인산비료를 투입해주는 것으로 해결을 합니다.

 

KakaoTalk_20250413_184543597_02.jpg

이렇게  작물을 로테이션 하면서 많이 쓰인 영양분을 보충하는 시기를 주고 연속해서 키울때 생기는 영양분 부족과 병충해(연속해서 한자리에서 동일한 작물을 키우면 병해충 확률도 올라갑니다.)를 방지합니다.

대표적으로 지력소모를 많이 한다고 하는 인삼의 경우에도 수확후에 고구마 1~2년-보리or콩1~2년-호밀,수단그라스(녹비) 요런식으로 로테이션 돌고나면 어느정도 회복해서 다시 인삼 준비를 하기도 하고요.

 

 

이외에도

 

KakaoTalk_20250413_184557882.jpg

호밀이나 수단그라스 같은 작물을 밭에 쫙 뿌려서 열매 열리기 전에 싹 갈아서 흙과 섞어주는 데 이걸 '녹비'라고 부릅니다.

사실 녹비는 영양분 적으로는 크게 작용하지 않습니다. 굳이 영양분 보충할거면 퇴비같은 유기질이 더 좋긴하죠

 

근데도 녹비를 쓰는 이유는 녹비 안에 섬유질들이 천천히 분해되고 또 토양 내 통기성을 좋게 해서 식물의 재배 초기에 이점을 주기 때문입니다. 땅을 푹신푹신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이랄까..

 

댓글'18'
정확히는 방장 사기 맵도 아니면서 옥수수 연작만 해서 망한...

미국의 콘벨트는 방장 사기맵+나름 과학적 관리로 만들어진 것이라

이 댓글을

한반도는 농사하기 안 좋은 땅이라 관리 잘해야 어느정도 나오는데 저 위에 흑토라던가 아메리카 방장 사기맵은 관리 대충해도 수확량이 쏟아져서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24 42x360Best
  • 2025.04.13

그러니까 북한은 순수 체급으로 농사가 망했다는 뜻이군요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24 42x360
  • 2025.04.13

그러니까 북한은 순수 체급으로 농사가 망했다는 뜻이군요

이 댓글을

정확히는 방장 사기 맵도 아니면서 옥수수 연작만 해서 망한...

미국의 콘벨트는 방장 사기맵+나름 과학적 관리로 만들어진 것이라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24 Nark31
  • 2025.04.13

와! 치트엔진 키고 농사짓기!

이 댓글을

한반도는 농사하기 안 좋은 땅이라 관리 잘해야 어느정도 나오는데 저 위에 흑토라던가 아메리카 방장 사기맵은 관리 대충해도 수확량이 쏟아져서

이 댓글을

자린
  • 2025.04.13

북한은 퇴비도 부족해서 인민들에게 인분 할당량을 걸고 사실상 옥수수가 주식이라 옥수수만 주구장창 키우고 있으니 한70%로 쳐 줍시다

근데 잉카나 아즈텍 시기에도 강낭콩 호박 같이 심어서 지력 보충하는 농법이 있었는데 점마들은....

이 댓글을

사실 인분도 부숙 안하면 땅에 독이라...
몇년씩 짚이나 녹비랑 같이 묵혀서 써야 작물에 데미지가 없는데 과연 북한이...

이 댓글을

자린
  • 2025.04.13
그거 다 풍선에 실어서 남쪽으로 날려서 그걸 고민할 필요가 없을지도 몰라요

이 댓글을

24014
  • 2025.04.13

옥수수가 척박한 땅에서 잘 자란다는 말을 들었는데

이거도 소비하는 지력의 종류가 달라서 인가요?

이 댓글을

이게 '잘 자란다'와 '수확량이 보장된다'가 같은 말이 아니라서
원산지가 소나 말이 없던 지역이라 고산지대같은 곳에서도 발아나 성장이 된다고는 하지만 생각보다 영양분 문제고 있고 우리가 아는 사이즈가 나오려면 영양분을 많이 요구해서 중간에 비료를 더 추가해 줘야하거든요(인산이 모자라면 줄기 안이 빈다던가 등등)

말그대로 척박한 환경에서 어느정도 성장은 잘 하는데 단위면적당 생산량ㅇㄴ 보장못한다.일겁니다.

얘네 심지어 영양분 모자라면 가끔 보이는 알곡 안 채우고 걍 자라는 케이스도....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24 Nark31
  • 2025.04.13

게임이나 소설에서 지력 회복시킨다고 콩덩굴? 이쪽 작물을 키워서 회복시킨다는 묘사는 대부분의 농작물이 지력을 소비하는 요소?영양분?을 콩이 보충해 주는 건가요?

위에 말씀해 주신 것처럼 소비하는 게 달라서 회복하는 걸로 보이는 걸까요

이 댓글을

자린
  • 2025.04.13
콩과 식물과 공생하는 박테리아가 땅의 질소 계통 영양분을 보충해줍니다

이 댓글을

콩은 뿌리에 질소를 식물이 쓸 수 있는 영양분 형태로 바꿔주는 세균을 가지고 있어서 그렇습니다. 콩과 식물들이 그래서 질소가 부족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겁니다. 아까시나무도 콩과라 전후 산의 녹화사업에 많이 심었던거고요.

근데 단순히 지력 회복때문에 콩을 키울거면 걍 휴지기때 녹비랑 퇴비 적당히 넣어주는 게 짱입니다. 작물 재배 중간중간에 콩을 심는 건 질소 보충말고도 위에 언급처럼 콩을 심어서 연작피해를 줄이는 용도도 있고요. 하나만 쭉 심으면 해충이나 병원균이 많이 자라기도 해서

이 댓글을

고섬도치
  • 2025.04.13

레알팜은 매우 레알하지 않았다

이 댓글을

아 이거 사쿠나히메에서 본거같아!ㅎㅎ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1 주먹가방
  • 2025.04.13

괜히 질소고정법 발명->비료 대량생산으로 이어진게 아니죠

 

정작 질소고정법 만든사람은 엄한걸 만들어버려서 악명도 엄청난게....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24 21616
  • 2025.04.13

대충 미국은 지혼자서 빨무한다는 소리죠?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24 소눈확
  • 2025.04.13

지식이 늘었어

이 댓글을

안그래도 출퇴근길 옆에 밭에서 겨울 끝날때쯤부터 무슨 초록풀을 무성하게 키우길래

저기는 저걸 왜키우나 했는데 저런 기능이였군요

 

지식이 느렀슴니다

이 댓글을

댓글 추첨 결과

TODO
추천
분류
제목
작성자
날짜
추천: 61
잡담
2025.04.13
추천: 10
잡담
2025.04.13
추천: 43
유머/퍼온글
2025.04.13
추천: 46
잡담
2025.04.13
추천: 9
잡담
2025.04.13
추천: 49
유머/퍼온글
2025.04.13
추천: 6
잡담
2025.04.13
추천: 21
유머/퍼온글
2025.04.13
추천: 43
잡담
2025.04.13
추천: 19
유머/퍼온글
2025.04.13
추천: 15
잡담
2025.04.13
추천: 12
잡담
2025.04.13
유머/퍼온글 
2025.04.13
잡담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