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여까 게시판
아이콘샵 추가됨 다들 구매 ㄱㄱ
잡담
번개치는 날에 올리는 재미난 현대 과학

 

image.png

 

고거슨 재작년에 나왔던 논문이지롱

 

 

간략하게 요약하면,

 

1. 번개는 구름 내부에서 공기 흐름과 마찰로 인해 구름의 특정 부분에 전하가 집중됩니다

 

2. 구름이랑 지면 사이에 전위차 (전압 차이)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공기가 이온화되면서 전기 방전 채널 (리더) 가 형성되여

 

3. 이게 연결이 되면 강력한 방전이 일어나면서 우리가 알고 있는 번개의 빛과 천둥 소리가 나게 됩니당

 

 

image.png

 

 

 

 

 

 

요런 느낌?

 

 

근데, 위에 그림처럼 구름에 음전하(-) 가 모이는 경우도 있지만, 구름에 양전하 (+) 가 모이는 경우도 있어여.

 

이를 각각 negative, positive lightning flash 라고 하는데

 

 

image.png

 

positive 의 경우에는 전체 번개의 비율중에서 5 % 정도이지만 negative 대비 10 배 가량 강력합니다

 

산불이라던가 송전선 손상 같은 번개에 의한 재해 대부분이 positive 라고 알려져있을 정도로여

 

 

그래서 이 논문이 말하는게 뭐냐

 

 

image.png

 

 

스위스의 Santis 타워 아래쪽에서 TW (테라 와트, 1012 W)급 레이저를 하늘로 쏩니당

 

그냥 쏘는게 아니라 1kHz, 1/1000 초 간격으로 레이저 펄스를 반복적으로 발사합니다

 

 

그냥 레이저도 아니고 매우 강력한 레이저 펄스가 대기를 통과하면서, 공기가 이온화 되여. 

 

레이저 경로 주위에 공기가 가열되서 밀도가 낮아집니당

 

저밀도화된 레이저 경로가 전기 전도성이 높아서 전기 방전 채널이 되고 번개 방전의 경로를 제공하게 되여

  

 

image.png 

 

image.png

 

 

 

고래서 번개 치는 경로를 매우 강력한 레이저로 유도할 수 있다! 라는 내용의 논문입니당

 

 

아마 미래에는 공항이라던가 로켓 발사대, 대형 인프라 시설 같은데에서 레이저 기반으로 번개 보호 시스템을 구축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네여

 

 

 

※ 테라 와트급 레이저이지만, 7 ps (피코 초, 10-12 s) 정도의 매우 짧은 순간에만 출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실제로는 한 펄스당 500 mJ 이고 (논문 내용), 초당 1000번 발사하는거기 때문에 1초동안 총 에너지가 500 J,

 

시간당 0.139 Wh 정도 나와여

 

1시간동안 작동시켜도 한국 기준 50원 정도 나오겠네여?

 

물론 레이저 자체의 효율만 가지고 얘기한거기 때문에 에너지 전환율이라던가 냉각 등등 하면 더 나오겠지만여

 

댓글'25'
아이콘 여까+x6 라비린Best
  • 9시간 전
지나가던 전기전공자입니다
낙뢰는 3가지 등급으로 분류되며
1/2/3 등급을 각각 직격뇌, 간접뇌, 복합파형으로
전부 노이즈가 심하며 이걸 정제하는 기술보다
어떻게 물을 효율적으로 끓여서 터빈 돌리냐가
더 좋은 발전방법입니다
이상입니다

이 댓글을

번개유도라니 개쩌는데

이 댓글을

크라일드
  • 10시간 전

번개유도라니 개쩌는데

이 댓글을

생각보다 요런 재밌는 연구들 많아영

이 댓글을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24 21616
  • 10시간 전

피뢰침 아래에서 레이저 왕창 쏴서 딴데 안맞게 한다는 전략인건가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24 카포하 (작성자)
  • 10시간 전
  • 수정: 2025.05.01 10:52:18

넵넵 레이저 쏴서 번개의 경로를 유도해가지구 피뢰침에 무사히 번개가 꽂히도록 하는거라 보심 됨당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12 아이구아나
  • 10시간 전

그럼 발전소에서 번개를 유도하면 더 좋겠네

이 댓글을

엄 일단 번개 자체가 수십억 볼트 전압을 발생시키는지라 이거를 안전하게 변환할 수 있는 변환기가 드물거에여..

발전보다는 번개로부터 발전소 중요 시설을 지키는 쪽으로 쓰이는게 좋을거라 생각함당

이 댓글을

어디 발전소에서 번개를 맞아 몇년치 전기를 모았네 하는건 헛소문이었군요

이 댓글을

저어도 해당 쪽 전공자가 아니다 보니까 번개로 발전이 가능하다 / 불가능하다는 완전하게는 모르겠는뎁

아마 힘들지 않을까 싶어영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12 Quzira
  • 9시간 전
이게 팩토리오처럼 안 되네...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6 라비린
  • 9시간 전
지나가던 전기전공자입니다
낙뢰는 3가지 등급으로 분류되며
1/2/3 등급을 각각 직격뇌, 간접뇌, 복합파형으로
전부 노이즈가 심하며 이걸 정제하는 기술보다
어떻게 물을 효율적으로 끓여서 터빈 돌리냐가
더 좋은 발전방법입니다
이상입니다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24 y_s_z_m
  • 9시간 전
  • 수정: 2025.05.01 11:10:41

전지구적으로 피뢰기 시설들을 한 네트워크로 묶어 전기에너지로 축적해보자는 이론...이 있긴 합니다만,
전지구적이란 말 그대로 지구 지각층 전체를 순회하는 초거대 설비 구축이 필요하고(지구외행성의 완전한 인류문명권 형성이 가능한 테라포밍에 들어가는 비용과 맞먹음), 이렇게 해서 지구상의 번개현상을 모조리 집전한다 쳐도 현 지구상의 발전량의 20% 정도만 축적할 수 있어 비용 수지타산이 너무 안 맞는다고함...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6 라비린
  • 8시간 전
놀랍게도 시설마다 피뢰 등급이 있어
1~4등급으로 99.99%~80%(방어율로 생각하시면 편함)
낙뢰를 비껴맞게 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발전소 외곽에 설치해볼 법 합니다
발전소에서 직접적인 활용은 어렵지만 보호관점에서 보면
타당한 발상입니다

이 댓글을

아니 개멋지잔아 

이 댓글을

현대 과학의 힘!

이 댓글을

두브헤
  • 9시간 전

로슈 현실화가 머지않았다ㄷㄷ

이 댓글을



로슈야아아!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18 별_로아
  • 9시간 전

고도로 발전된 기술은 람쥐 썬더!!!!!!!!!!!와 구별할 수 없다

이 댓글을

사실 람쥐가 손에서 레이저를 쏘고 있는거였다면?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24 y_s_z_m
  • 9시간 전

낙뢰가 의도한 목적지에서만 발생할 수 있도록 대기조작이 되는건 멋지다 

이 댓글을

요새 과학기술 보면 진짜 와 저런거도 되?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멋있는거들 많은거 같아여

이 댓글을

마늄
  • 8시간 전

이거 체인라이트닝 ㅆㄱㄴ 이잖아!?!

이 댓글을

체인 라이트닝보다 레이저를 쏘는게 더 쎄지 않을까 잠깐 생각을 했지만

그래도 낭만있잖어 한잔해~

이 댓글을

NADH
  • 7시간 전

예에에전에 벼락 맞은 대추나무를 이제는 인공적으로 만든다고 해서

당연히 강력한 전류전압을 걸어서 만든다는거겠지? 라고 지레짐작 했었는데

레이저로 진짜 번개를 유도해서 한다는 댓글인가 보고

에이 구라 ㄴㄴㅋㅋㅋㅋㅋㅋ 하면서 찾아봤더니 진짜 가능했던 사실...

이 댓글을

미신과 과학이 합쳐진 사이언스피릿? ㅋㅋㅋㅋㅋㅋ

이 댓글을

댓글 추첨 결과

TODO
추천
분류
제목
작성자
날짜
추천: 34
잡담
2024.07.28
추천: 18
팬아트/팬영상
2024.10.08
추천: 34
유머/퍼온글
2024.10.01
추천: 11
구렁성
2024.09.26
추천: 31
잡담
2024.07.23
추천: 46
유머/퍼온글
2025.02.24
추천: 19
유머/퍼온글
2024.06.20
추천: 29
구렁성
2024.12.31
추천: 19
잡담
2025.01.31
추천: 25
잡담
2024.09.07
추천: 13
잡담
2024.08.29
추천: 11
게임
2024.09.18
추천: 12
잡담
2024.10.07
추천: 12
잡담
2024.06.28
팬아트/팬영상 
2024.10.08
유머/퍼온글 
2024.10.01
구렁성 
2024.09.26
잡담 
2024.07.23
잡담 
2024.08.29
잡담 
2024.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