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여까 게시판
아이콘샵 추가됨 다들 구매 ㄱㄱ
잡담
[질문] DAS/NAS RAID구성 관련 지식 있으신분 있으실까요?

 (내용이 조금 길 수도 있습니다, 최대한 가독성이 좋게 문단별로 나누어 보겠습니다)

 

3줄요약 

1. 기존에 8테라 사용중인데 백업용으로 DAS(RAID1 or RAID5) 를 구성하고 싶어짐

2. 처음에 RAID를 구성하려면, 데이터 초기화를 반드시 해야하는데 현재 8테라 하드에 5테라 정도가 사용중이라 백업 후 옮기기가 만만치 않음.

3. 일단 RAID 1으로 구성하고 (하드 2개) 나중에 용량 부족으로 하드를 1개 더 구입하면 RAID 5로 변경하고 싶은데, 그 기능을 지원하는 제품이 없음 (개인용으로는 시놀로지가 유일한듯)

4. 어떻게 해요? 어떻게 해요? 어떻게 해요? 어떻게 해요? 어떻게 해요? 어떻게 해요?

 

 

1. 기존에 8테라 사용중인데 백업용으로 DAS(RAID1 or RAID5) 를 구성하고 싶어짐

 

현재 작년에 구매한 wd blue 8tb HDD를 하나 사용중인데, 외장하드 1테라 짜리가 하나 죽은 이후로 무서워서 8테라하드 백업을 마련하고 싶어졌습니다.

그래서 맨 처음 찾아본게 RAID로 관리하는 DAS 였습니다.

일단 생각한게 DAS랑 8tb 하드를 추가로 하나 구입해서 8+8 구성으로 한뒤에 RAID 1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였습니다.

근데 필연적으로  RAID를 구성하려면 하드 초기화를 해야한다고 하더라고요.

 

 

2. 처음에 RAID를 구성하려면, 데이터 초기화를 반드시 해야하는데 현재 8테라 하드에 5테라 정도가 사용중이라 백업 후 옮기기가 만만치 않음.

 

이 문제도 발생하였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dropbox, one drive, google drive) 에 업로드 하고 받는 식으로 할려했는데 대부분 개인 계정 기준 최대 용량이 3tb였으며 업로드/다운로드 대역폭 제한도 있더라고요.

그렇다고 하드를 2개를 사서, RAID1으로 묶고 기존에 있던 데이터를 옮기기에는 "아니 하드가 3개면 RAID 5로 묶고 말지, 굳이 RAID 1로 해야됨?" 같은 생각도 들고 

워낙 기존에 있던 데이터양이 많아서 어디다가 옮기기에 애매합니다. (backblaze 같은것도 찾아보았으나, 한국서버에서는 대역폭이 엄청 낮은 문제와, 아예 추가 클라우드 같은 개념의 서비스가 아니라 복잡함)

 

뭐 일단 이 문제는 뒤로하고, 나중에 추후 용량 추가 관련해서도 문제가 생겼습니다.

 

3. 일단 RAID 1으로 구성하고 (하드 2개) 나중에 용량 부족으로 하드를 1개 더 구입하면 RAID 5로 변경하고 싶은데, 그 기능을 지원하는 제품이 없음 (개인용으로는 시놀로지가 유일한듯)

 

지금은 RAID1으로 사용하다가 하드를 하나 더 추가 하게 된다면 raid 5로 변경하고 싶은데 이 기능을 지원하는 제품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DAS는 RAID를 지원하지 않는 제품도 많고, RAID를 변경하게 된다면 아예 하드를 초기화를 한 뒤 재구성을 해야된다고 하더라고요.

유일하게 개인용으로 넘볼 수 있는 가격과 제품이 시놀로지 밖에 없음.

 

사실 시놀로지를 쓰면 문제가 없긴 합니다. 

하드 하나 추가로 사면 SHR로 잡은다음에, 기존에 있던 데이터 옮기고, 원래 있던 하드 포맷하고 RAID1로 묶거나 SHR로 사용하다가

나중에 하드 추가하면 RAID 5로 바꾸면 되거든요, 놀랍게도 모든 기능을 지원하더라고요....

 

근데 문제라고 한다면 돈 문제가 가장 크긴합니다. 애초에 외부에서 데이터를 엑세스를 할일이 거의 없기때문에 NAS기능이 필요 없을 뿐더러,

4베이 기준으로 DAS는 약 20만원이면 구매가 가능하지만 4베이 시놀로지 NAS는 6~80만원 정도 합니다. 

(50만원 차이면 8테라 하드가 3개......)

거기다가 지금 쓰고 있는 하드가 NAS 하드가 아닌 일반 하드 웬디 블루라 그것도 애매하긴합니다.

 

원래는 일일히 수동으로 백업하기 귀찮아서 이런걸 알아보던건데, 뭔가 알아볼수록 더 모르겠습니다.

혹시 관련으로 첨언이나 조언 주실분 있으시다면 적극 환영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8'
팦타르트
  • 18시간 전

일단 RAID는 백업이 아닙니다

 

- 백업만 하시려면 AWS Glacier같은데가 테라당 월 1달러(복원시 추가비용)정도로 알고있습니다

- NAS같은 애들은 24시간 운용이라 전용 브랜드로 나오니 크게 필요 없습니다

- 소프트웨어 RAID로 묶으면 되긴 합니다만... 윈도우에선 어케하는지 모르겠네요

 

백업만 하신다면 4테라 외장하드같은거 사서 주기적으로 복사해놓고 딴곳(예: 직장)에 박아놓는게 제일입니다

참고: 3-2-1 백업

이 댓글을

역시 수동복사가 짱인가 보군요...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이 댓글을

마레삭
  • 18시간 전

데이터 백업용으로 HDD 2개 박아놓고 윈도우에 Sync toy 라는 프로그램 써서 가끔 백업하곤 합니다

이 댓글을

함 찾아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이 댓글을

클라우드 얘기 나와서 하는 소리인데 오라클 클라우드는 일반 무료 티어(20기가 스토리지) 말고 30일 무료 체험으로 5테라를 지원해줘요.
1회성이면 오라클 클라우드 써서 데이터를 옮길 수 있어요.

그리고 RAID는 윗 캔냥이 분이 쓰셧듯이 백업만을 위한 그런게 아니에요. RAID 1로 구성하면 안정성이 대폭 늘어나는게 (= 백업용으로 쓰기 적합한게) 맞긴 하지만 이건 물리적인 하드 고장에 대비하는 거지 해킹이나, 소프트웨어 오류를 막는게 아니에요. 물론 인터넷 연결 안하는 환경에선 적절한 판단일 수 있어요.
또 RAID5 얘기를 하셨는데 8테라로 만드시면 만일 하드 하나가 고장나면 복구가 시간이 아니라 하루 단위로 이뤄질거라 그 장점이 아예 사라진다고 보시면 되요. 차라리 RAID 0으로 해서 속도를 챙기시는게 더 효용성이 있으실 거에요.
 결론: 단일 파일 크기가 테라 단위인 경우가 아니라면 개인 사용자에게 RAID 구성은 크게 의미가 없다.

이 댓글을

거북목전치삼주
  • 16시간 전
  • 수정: 2025.04.16 13:18:10

백업을 원하신는 거면 NAS 시스템을 구축하시는 걸 추천 드릴게요.
사실 8테라 하드를 외장하드로 쓰시는 건지 피시에 물려놓고 안빼시는건진 모르겠는데 피시에 물려놓고 안빼신다는 전제 하에 말씀드리자면
NAS 를 동일한 8테라로 구성해놓고 컴퓨터랑 동일한 네트워크(LAN)로 연결하는 거에요.
그 다음 파일싱크 프로그램을 써서 일정 주기(세세하게 설정 가능)마다 컴퓨터의 파일을 NAS로 백업하는 거죠.
그러면 만일 컴퓨터 내부 파일이 사고 때문에 날라가더라도 NAS에 백업 본이 있으니까 복구가 좀 용이해질거에요.
대용량 파일이여도 인터넷이랑 분리된 트래픽을 사용하니까 트래픽 안먹는것도 장점이고요.
단, 이 용도면 NAS를 인터넷이랑 연결하면 안되겠죠. 외부 위협으로부터 보호가 더 힘들어지니까요.

이 댓글을

천천히 잘 읽어보았습니다.
제생각에는 나스가 만능인것처럼 느껴졌는데,
복구시간도 그렇고 여러모로 제가 구입할려하는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는게 느껴지네요.
그냥 따로 중요한 자료들만 백업보관하는 방법을 선택해야겠습니다.
귀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선생님

이 댓글을

아이콘 여까x24 무새ㄱ
  • 12시간 전
  • 수정: 2025.04.16 17:06:15

질문이 대충 1. 현재 하드 8테라 1개에 5테라 가량 데이터 있는 상황에서 하드 2개 mirror 걸고 쓰다 추후 추가해서 raid5 가능한가 2. DAS/NAS 추천좀 으로 해석되는데

 

1. 파일시스템 단위에서 데이터 저장 방식이 달라지는거라 변환은 불가능합니다. 다만 ZFS의 raidz(raid5와 비슷하게 1개 하드 실패도 복원 가능)가 2개 드라이브도 지원하고 드라이버 추가도 1월부로 가능한 업데이트 있어서 가능하다면 이쪽 설정도 알아보시는게 좋습니다.

 

2. DAS는 내장 RAID를 걸더라도 외부 백업 작업이나 패러티 체크같은 작업은 연결된 컴퓨터의 연산력을 끌어다 씁니다. 아무리 적은 양이더라도 I/O 작업때문에 미묘하게 버벅이는 면이 있을수밖에 없어서 개인적으로는 NAS를 추천하는 편이긴 합니다.

비용적인 면은 시놀로지같은 기성 NAS 대신 ITX 보드 기반 혹은 Odroid-H4 plus 같은 DIY를 통해 줄일 수 있습니다. 설정의 자유도 면에서도 이쪽이 확연하게 높지만 반대로 조립부터 OS 설치, 소프트웨어 설정까지 모두 다 직접 해야하는 면은 조금 불편한 점이 있기는 합니다.

 

별개로 "백업"이 단순히 raid만 건다고 해결되는건 아닙니다. 하드디스크가 1~2개 오류난다고 하더라도 계속 사용 가능하는 목적(고가용성)으로 봐야하고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한다면 최소 3-2-1 원칙(최소 3개, 최소 2종류, 1개는 다른 장소)을 고려하시는게 좋습니다.

이 댓글을

댓글 추첨 결과

TODO
추천
분류
제목
작성자
날짜
추천: 34
잡담
2024.07.28
추천: 18
팬아트/팬영상
2024.10.08
추천: 34
유머/퍼온글
2024.10.01
추천: 11
구렁성
2024.09.26
추천: 31
잡담
2024.07.23
추천: 46
유머/퍼온글
2025.02.24
추천: 19
유머/퍼온글
2024.06.20
추천: 29
구렁성
2024.12.31
추천: 19
잡담
2025.01.31
추천: 25
잡담
2024.09.07
추천: 13
잡담
2024.08.29
추천: 11
게임
2024.09.18
추천: 12
잡담
2024.10.07
추천: 12
잡담
2024.06.28
팬아트/팬영상 
2024.10.08
유머/퍼온글 
2024.10.01
구렁성 
2024.09.26
잡담 
2024.07.23
잡담 
2024.08.29
잡담 
2024.10.07